전체 글23 [Spring - JavaScript] == 와 === 우선 다들 알다시피 = 이것은 우측의 값을 좌측에 대입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값을 비교할땐 흔히 ==을 사용해왔었다. 최근에 보게된건 ===이었다. ==와 ===은 공통적으로는 비교하는 연산자이다. 차이점은 ==은 값만 비교하고 ===은 타입까지 일치하는지를 비교해준다. !=와 !==은 값과 타입이 다른지를 비교하는 연산자이다. 500 == "500" 이지만, 500 !== "500" 이다. 0 == false 지만, 0 !== false 이다. null == undefined 지만, null !== undefined 이다. var a = (0== false); var a2 = (0 === false); var b = (500 == "500"); var b2 = (500 === "500"); var c.. 2021. 8. 30. [Spring - JSP] ID와 name 차이 ID는 유니크한 것으로 하나의 ID는 하나의 input에만 들어갈 수 있고, name은 중복이 가능하여 여러개의 input에서 같은 name을 가질 수 있다. 공통적으로는 둘다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값을 불러오기 위해서 ID는 getElementById("ID")를 사용하고 name은 getElementsByName("Name")을 사용한다. 주의할 점은 getElementsByName의 경우 가운데 's'가 들어간다. (하지만 나는 getElementById를 getElementByID로 써놓고 틀린걸 못찾아 한참을 헤맨적이 있다...) 그 이유는 ID는 유일하기 때문에 단수로 사용되는데 Name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기때문이다. 리턴되는것을 사용하는 방법도 조금 다르다. document.getE.. 2021. 8. 30. [Eclipse] 한글 깨짐 해결 방법과 UTF-8, EUC-KR, MS949, CP949 eclipse에 spring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바로 run on server를 눌렀을때 나오는 페이지는 아래와 같이 한글이 깨져서 나오게된다. 분명 2021년 8월 25일 이런식으로 나와야하는데 한글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우선적으로 *.jsp 파일의 상단에 한줄을 추가해주면 된다. jsp 파일을 UTF-8로 인코딩하고, 웹브라우저(HTTP client)가 받을 때도 UTF-8로 받아오겠다는 것이다. 그러면 바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추가로 이후에 외부에서 소스를 가져와서 받아볼 때 주석이나 한글로 작성된 부분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부분도 eclipse 내에서 설정을 바꿔줘야한다. eclipse 상단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를 클릭해.. 2021. 8. 25. [Linux] tail 명령어 파일 내용을 볼 때 cat 명령어라 vi 명령어를 이용해 보기도 하는데, 일부분만 보고싶거나 업데이트 되는 내용까지 보고싶을 경우 tail을 사용하기도 한다. tail [Option] [number] [FileName]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옵션은 [FileName]이다. Option과 Number는 입력하지 않을경우 기본값으로 마지막 10줄을 불러오게된다. Option tail -c [Bytes] [FileName] -c, --bytes: 뒤에서부터 입력한 수만큼의 bytes를 출력해서 보여줍니다. tail -n [Line] [FileName] -n, --line: 뒤에서부터 입력한 수만큼의 line을 출력해서 보여줍니다. tail -f [FileName] -f, --follow: 파일을 계속 지켜보면.. 2021. 8. 23. [IntelliJ] War 파일 만들기 IntelliJ 우측에 Gradle 버튼을 눌러 확장 확장된 창에서 쥐 모양(?)의 Excute Gradle Task 새로 뜬 Run Anything 창에 bootWar 입력 그대로 실행되고 하단 Run 창에 뭐라뭐라 뜨면서 아래와 같이 완료 생성된 war 파일은 /build/libs 에서 찾아가면 된다. 2021. 8. 18. 이전 1 2 3 4 5 다음